복리란 무엇인가?

복리(複利, compound interest)는 원금과 함께 이전 기간의 이자를 계속 원금에 합산해 계산하는 이자 방식입니다. 즉, '이자에 대한 이자'가 발생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.

💡 복리의 핵심 개념

작동 원리

  • • 1년차: 원금에 이자 발생
  • • 2년차: (원금 + 1년차 이자)에 이자 발생
  • • 3년차: (누적 원금)에 이자 발생
  • • 매년 기하급수적 증가

주요 특징

  • • 시간이 길수록 효과 극대화
  • • 초기보다 후기에 더 큰 증가
  • • 재투자 효과 발생
  • • 지수함수 성장 곡선

복리 계산 공식

복리는 수학적으로 명확한 공식으로 표현되며, 다양한 상황에 따라 변형된 공식을 사용합니다.

📐 기본 복리 공식

A = P(1 + r/n)^(nt)

A = 최종 금액 (미래가치)

P = 원금 (현재가치)

r = 연이자율 (소수점)

n = 연간 복리 횟수

t = 투자 기간 (년)

💰 계산 예시

조건: 원금 1,000만원, 연 5% 이자율, 매년 복리, 10년 투자

A = 1,000만원 × (1 + 0.05)^10 = 1,000만원 × 1.629 = 1,629만원

→ 10년 후 약 629만원의 수익 발생 (62.9% 증가)

🔄 복리 주기별 공식

연복리 (n=1)

A = P(1 + r)^t

1년에 1번 복리 적용

분기복리 (n=4)

A = P(1 + r/4)^(4t)

3개월마다 복리 적용

월복리 (n=12)

A = P(1 + r/12)^(12t)

매월 복리 적용

일복리 (n=365)

A = P(1 + r/365)^(365t)

매일 복리 적용

♾️ 연속복리 공식

A = Pe^(rt)

e = 자연상수 (≈ 2.71828)

연속복리 = 극한적으로 자주 계산

복리 주기가 무한히 짧아질 때의 극한치

이론적 최대 복리 효과

시간가치와 복리의 이론적 기반

복리는 경제학의 시간가치 개념에 기초하며, 다양한 금융 이론의 토대가 됩니다.

⏰ 시간가치 (Time Value of Money)

핵심 원리

  • 오늘의 1만원 > 1년 후 1만원
  • 돈은 시간이 지나면서 기회비용 발생
  • 투자 기회와 인플레이션 고려
  •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할인

할인 공식

PV = FV / (1 + r)^t

PV = 현재가치

FV = 미래가치

r = 할인율

t = 기간

📈 지수성장과 로그수익률

지수성장 특성

  • 초기에는 완만한 증가
  •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화
  • 후반부 폭발적 성장
  • J 커브 성장 패턴

로그수익률 활용

ln(A/P) = t × ln(1 + r)

• 로그수익률은 단순 합산 가능

• 복리 효과의 직관적 해석

• 금융 이론에서 널리 활용

🌍 경제학적 응용 분야

💰 금융

  • • 예금 및 대출 이자
  • • 투자 수익률 계산
  • • 연금 설계
  • • 보험 상품

📊 거시경제

  • • GDP 성장률
  • • 인플레이션 누적
  • • 인구 증가율
  • • 경제 모델링

🔬 기타 분야

  • • 생물학적 성장
  • • 기술 확산
  • • 네트워크 효과
  • • 복잡계 이론

복리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

복잡한 수식보다는 직관적인 예시로 복리의 원리를 이해해보세요.

눈덩이 효과

복리는 언덕에서 굴러가는 눈덩이와 같습니다. 처음에는 작지만 굴러갈수록 점점 더 많은 눈이 달라붙어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.

초기: 작은 눈덩이 (원금)
중기: 눈이 붙어 커짐 (원금+이자)
후기: 폭발적 성장 (복리 효과)

72의 법칙

자산이 2배가 되는 기간을 쉽게 계산하는 방법입니다.

2배 기간 = 72 ÷ 수익률(%)

• 연 6% 수익률 → 72÷6 = 12년

• 연 8% 수익률 → 72÷8 = 9년

• 연 12% 수익률 → 72÷12 = 6년

🚀 복리 이해를 더욱 깊이 있게

복리의 기본 개념을 이해했다면, 이제 단리와의 차이점과 실제 투자 전략을 알아보세요